본문 바로가기

파이썬13

5년차 파이썬 개발자가 본 파이썬과 R 장단점 비교 R vs 파이썬? 안녕하세요, 판다타입니다. 2023년 첫 포스트네요. 2023년으로 저는 5년차 개발자가 되었습니다. 학부를 빼면, 2018년에 회사(거의 대학원;;)에서 처음 업무로 개발을 시작하고 (1년 정도 쉬었으니) 이제 5년차! 하지만 제대로 배우면서 한 건 지난 2년간이니, 부진정5년차, 또는 3년차 개발자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의 실력일까... 가끔 자신감이 줄기도 하면서ㅋㅋㅋ 아무튼 저는 지난 5년간 거의 파이썬(Python)으로 개발을 했고, 가끔 필요에 따라 C++이나 R 등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특히 R은 대학원 수업 때 많이 썼는데요, 제가 전공한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R을 학부 때 통계학 수업 때 한 번, 4년 뒤 대학원에서.. 2023. 1. 15.
일급객체란? https://blog.hexabrain.net/347 일급객체란, 다른 객체들에서 일반적으로 쓰는 연산을 지원하는 객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일급객체는 다른 객체에 인자로 넘겨지거나 반환값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파이썬의 함수는 일급객체, 즉 일급함수로 사용됩니다. 객체 안에 다른 객체가 정의될 때 지역변수가 선언되면 전역으론 쓸 수가 없습니다. def func1(arg1): global arg2 return arg1 + arg2 arg2 = 1 print(func1(2)) # 3 지역에서 선언된 변수를 전역에서 쓰려면 위처럼 global을 선언해야 하는데, 당연히 어떻게 정의됐는지 불분명한 변수를 코드 스코프 전체에서 쓰면 불안정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클로저를 쓸 수 있습니다. 클로저란, 반환값으.. 2022. 9. 13.
NumPy & Pandas 자주 쓰는 문법 요약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시험을 준비하면서, NumPy와 Pandas에서 자주 쓰는 문법들을 요약해 외우고자 cheatsheet처럼 정리해보았습니다. 문법과 그에 따른 결과를 최대한 한 줄로 보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NumPy import numpy as np a1 = np.array([[1, 2, 3], [4, 5, 6]]) print(a1) # [[1 2 3] [4 5 6]] print(a1.shape) # (2, 3) print(a1.ndim) # 2 ## Array a2 = np.arange(1, 20, 3) # [1 4 7 10 13 16 19] a3 = np.zeros((2, 3)) # [[0. 0. 0.] [0. 0. 0.]] a4 = np.ones((3, 2)) # [[1. 1.] [1. 1... 2022. 9. 13.
Flask 블로그 제작기 (6) - 검색 기능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검색(search)과 정렬(sort)은 알고리즘계의 양대산맥입니다. 자료구조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검색과 정렬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 때 그 때마다 메모리적으로나 시간적으로 적합한 알고리즘은 따로 있죠. 이 블로그와 같은 플라스크 블로그에서도 1) 직접 검색 알고리즘을 데이터베이스 상대로 구현하거나, 2) 처음부터 Elasticsearch같은 검색 전문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등 복잡한 방법들이 있겠지만, 사실 가장 쉬운 방법은 RDBMS에 LIKE SQL 쿼리를 날리는 방법입니다. 한 번 쉽게 구현해보도록 합시다. HTML view 일단 html 부분입니다. 저는 블로그 랜딩 페이지에서만 검색 기능이 있으면 충분하다고 생각해서 templ.. 2022. 9. 13.
Flask 블로그 제작기 (5) - 파비콘(Favicon)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매 주 Flask로 블로그 제작에 대한 글을 쓰며 구글에 블로그를 노출시키려 애쓰고 있지만, 사실 블로그 운영을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매우 귀찮습니다... 그래도 꾸준히 하나씩 올릴 때마다 구글 검색에 개선이 있음을 구글서치콘솔을 통해 보고 있기 때문에, 오늘 같은 날은 가벼운 마음으로 파비콘(favicon)을 어떻게 플라스크 블로그에 띄웠는지를 보여드리고자 합니다. 파비콘이란? 파비콘(favicon)은 위키백과에 따르면, favorites와 icon의 합성어로, 웹사이트를 대표하는 아이콘이라고 합니다. 우리가 자주 보는, 브라우저의 탭에 있는 아이콘, 예를 들면 위키백과의 "W" 모양과 같은 것이 파비콘인데요, 보통 16 x 16 픽셀의, .ic.. 2022.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