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3 Flask 블로그 제작기 (3) - PostgreSQL 연결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왜 PostgreSQL? Python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DB 미들웨어는 SQLite3이며, Flask 튜토리얼에서도 DB는 SQLite3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 포스트 시리즈에서도 볼 수 있듯이, SQLite3는 서버가 아닌 파일 기반의 시스템이라, DB를 한꺼번에 여러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알맞지 않습니다. 따라서 보통 MySQL이나 PostgreSQL을 사용하게 되는데, MySQL이 더 오래되고 개발이력이 오래되어 튼튼한 감은 있지만, PostgreSQL은 오픈소스로서의 잠재력이 높아 요즘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추세입니다. 이 웹사이트, Dwarf in the Flask 또한 PostgreSQL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에.. 2022. 9. 13. Flask 블로그 제작기 (2) - Nginx와 Gunicorn로 Flask 배포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이 Dwarf in the Flask 웹사이트를 Flask로 만든 것은 이름으로부터도 알 수 있습니다만, 이러한 웹 사이트, 다른 말로는 웹 어플리케이션은 Flask와 같은 웹 프레임워크만으로 구동되지는 않습니다. Nginx나 Apache같은 웹서버는 필수적이고, Flask나 Django, FastAPI같은 python 웹 프레임워크의 경우에는 Gunicorn이나 uWSGI같은 WSGI 서버가, 웹서버의 기능을 일부 대체해주기 위해 필요합니다. 웹서버, WSGI 서버, 어플리케이션 즉 (1) 웹서버, (2) WSGI 서버, (3) Flask 어플리케이션이 모두 실행되어야 웹사이트를 배포할 수 있습니다. Flask 튜토리얼을 따라가면서 flask run.. 2022. 9. 13. Flask 블로그 제작기 (1) - 공식 튜토리얼 따라잡기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사실 플라스크 공식 튜토리얼을 제가 하나하나 번역해가면서 정리하기보다는, 이 튜토리얼을 갓-구글번역기로 번역해서 보는게 더 편하실 겁니다ㅋㅋ 저는 튜토리얼에서 이해하기 힘든, 플라스크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개념 몇 가지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기본적으로 플라스크로 만든 웹 어플리케이션(웹사이트)은 다음과 같은 프로젝트 구조를 가집니다. Root 폴더 +- instance 폴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나서 채워지는, 또는 운영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 데이터들. | +- config.json 또는 config.yaml 등 | +- database 파일 (sqlite DB의 경우) +- source code 폴더 +- static 폴더.. 2022. 9. 13. Flask 블로그 제작기 (0) - 왜 Flask인가? 플라스크로 서비스되던 구버전 블로그에서 옮겨왔습니다. 개발자라면 모름지기 개발 블로그, devlog 하나 정도는 운영해야 제맛. 원래 panda5176.github.io 라는 GitHub pages에서 제공하는 정적인, 상호작용없는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회사에서 웹개발을 조금 하게 되기도 했고, 원래 블로그 디자인에 한계를 느껴서 이 참에 아예 동적인 블로그를 운영해보기로 했습니다. C++를 조금 할 줄 알고 js를 배우긴 했지만, 그래도 근본적으로 python 개발자인 나는 역시 python으로 블로그를 개발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그 이유로는 몇 가지가 있는데, 회사에서 python으로 웹개발을 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공부에 시너지가 난다. 예전에 취미로 django와 flask 등 python web.. 2022. 9. 13.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개발서적 후기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The Pragmatic Programmer, 인사이트 출판) 회사 연구소장님의 추천으로 읽게 되었습니다. C++을 주로 파시던 Jay가 python을 프로토타이핑용으로 사용하시게된 계기가 된 책. 제가 읽어보았을 땐, 긴가민가하던 것들에 대해서 cool하게 대답해줘서 좋았습니다. ‘깨진 창문 이론’은 뉴욕과 다른 주요 도시 경찰들에게, 큰일을 막기 위해 조그만 것들을 엄중 단속해야겠다는 영감을 불어넣어 줬다. 정말 그렇게 된다. 깨진 창문, 낙서, 기타 작은 위반 행위를 잘 단속했더니 중범죄가 줄었다. ‘깨진 창문’ (나쁜 설계, 잘못된 결정, 혹은 형편없는 코드)을 고치지 않은 채로 내버려 두지 마라. 발견하자마자 바로 고쳐라. - p.35 돌멩이를 내놔야 할 때다. 큰 무리 없.. 2022. 9. 13. 이전 1 ··· 5 6 7 8 9 다음